마르틴 잔트베르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잔트베르거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SS)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학살에 관여하여 전후 전범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석방되었다. 베를린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한 잔트베르거는 20세에 나치당과 돌격대에 가입했으며, 1936년 친위대에 입대하여 보안국(SD)에서 근무했다. 전쟁 중에는 특수부대(Einsatzkommando) 지휘관으로 발트 3국에서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휘했으며, 이탈리아에서도 유대인 체포에 관여했다. 전후 아인자츠그루펜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감형을 통해 1958년 석방되었고, 2010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변호사 - 빌헬름 프리크
나치 독일의 내무장관 빌헬름 프리크는 중앙집권화와 유대인 탄압에 기여한 정치인으로, 라이히스타크 방화 사건 이후 권한법을 통해 독일의 중앙집권화를 가속화하고 뉘른베르크 법률 제정에 관여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졌다. - 독일의 변호사 - 루돌프 슈타믈러
독일의 법철학자이자 신칸트 학파의 주요 인물인 루돌프 슈타믈러는 법이 경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며 마르크스주의적 법 결정론을 비판하고 '변화하는 내용을 가진 자연법' 개념을 제창하여 후대 법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특수작전집단 관련자 - 파울 블로벨
파울 블로벨은 나치 친위대 장교로서 유대인 학살에 가담하고 존더코만도 4a의 지휘관으로 바비 야르 학살을 조직했으며, 뉘른베르크 군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 특수작전집단 관련자 - 오토 올렌도르프
오토 올렌도르프는 나치 친위대 장교로서 아인자츠그루펜 D 부대를 지휘하며 우크라이나와 크림 반도에서 9만 명 이상의 민간인 학살에 관여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1951년 교수형에 처해졌다. - SS연대지도자 - 파울 블로벨
파울 블로벨은 나치 친위대 장교로서 유대인 학살에 가담하고 존더코만도 4a의 지휘관으로 바비 야르 학살을 조직했으며, 뉘른베르크 군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 SS연대지도자 - 막스 뷘셰
막스 뷘셰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양한 전선에서 활약하며 히틀러 경호 부대에서 근무하다가 팔레즈 포위전에서 포로가 되어 스코틀랜드에서 전쟁 포로 생활을 한 후 석방되어 산업 공장 관리자로 일하다 1995년에 사망했다.
마르틴 잔트베르거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1년 8월 17일 |
출생지 | 샤를로텐부르크, 브란덴부르크, 프로이센, 독일 제국 |
사망일 | 2010년 3월 30일 (향년 98세) |
사망지 | 슈투트가르트, 바덴뷔르템베르크, 독일 |
직업 | 변호사, 사법 연수생, 나치 공무원 |
범죄 상태 | 사망 |
유죄 판결 | |
죄목 | 인도에 반한 죄, 전쟁 범죄, 범죄 조직 가입 |
형량 | 사형; 종신형으로 감형; 추가 감형되어 형기 종료 |
재판 | 아인자츠그루펜 재판 |
2. 초기 생애 및 경력
마르틴 잔트베르거는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에서 IG 파르벤 이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뮌헨 대학교, 쾰른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1] 20세에 나치당과 SA에 가입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튀빙겐에서 나치 학생 운동가이자 학생 지도자로 활동했고, 1933년에는 에리히 에를링어와 함께 튀빙겐 대학교 본관 앞에 나치 깃발을 게양하기도 했다.[2] 1935년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3] 국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의 기능인으로서 대학 감찰관이 되었다.
1936년 친위대(SS)에 입대하여 구스타프 아돌프 쉘의 지휘 아래 보안국(SD) 뷔르템베르크 지부에서 복무했다.[18] 1938년 SS 돌격대지도자(소령) 계급으로 승진했다. 잔트베르거는 뷔르템베르크 내무 행정부에서 보좌 판사로 일했으며, 1937년에는 정부 위원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마르틴 잔트베르거는 1911년 8월 17일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에서 IG 파르벤 이사의 아들로 태어났다.[1] 뮌헨 대학교, 쾰른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 20세에 나치당과 돌격대(SA)에 가입, 1932년부터 1933년까지 튀빙겐에서 나치 학생 운동가이자 학생 지도자였다. 1933년 3월 8일, 잔트베르거와 에리히 에를링어는 튀빙겐 대학교 본관 앞에 나치 깃발을 게양했다.[2] 1935년 박사 학위를 취득,[3] 국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의 기능인으로서 대학 감찰관이 되었다. 1936년 친위대(SS)에 입대하여 구스타프 아돌프 쉘 지휘하에 보안국(SD)에서 뷔르템베르크에서 복무했다. 1938년 SS 돌격대지도자(소령) 계급으로 승진했다.2. 2. 학업 및 나치 가입
마르틴 잔트베르거는 뮌헨 대학교, 쾰른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 20세에 나치당과 SA에 가입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튀빙겐에서 나치 학생 운동가이자 학생 지도자로 활동했다. 1933년 3월 8일, 동료 학생 에리히 에를링어와 함께 튀빙겐 대학교 본관 앞에 나치 깃발을 게양했다.[2] 1935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 국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 간부로서 대학 감찰관이 되었다.2. 3. 친위대 경력
1936년 친위대(SS)에 입대하여 구스타프 아돌프 쉘의 지휘 아래 보안국(SD) 뷔르템베르크 지부에서 복무했다.[18] 1938년 친위대 소령으로 승진했다. 뷔르템베르크 내무 행정부에서 보좌 판사로 일했으며, 1937년에는 정부 위원이 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동
1939년 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점령 이후, 하인리히 히믈러는 하임 인스 라이히(대략적인 번역: '조국으로의 귀환')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는 폴란드 지역의 원주민을 몰아내고 발트 3국 및 소련 점령하의 동부 폴란드와 같은 다양한 국가에서 온 독일계 주민(Volksdeutsche)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1] 1939년 10월 13일 히믈러는 잔트베르거를 북동부 이민 사무소(''Einwandererzentralstelle Nord-Ost'')의 책임자로 임명하고, 다양한 ''Volksdeutsche'' 이민자들의 "인종적 평가"(''rassische Bewertung'')를 맡겼다.
1941년 6월 잔트베르거는 특수부대 1a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 Einsatzgruppe A.[1] 독일의 소련 침공 초기 2주 동안, 잔트베르거는 아인자츠그루페 A의 사령관인 프란츠 발터 슈타레커와 함께 이동했다.[1] 1941년 3월부터 RSHA의 사업 계획 배포와 학교 커리큘럼 조직의 책임자(''Lehrplangestaltung der Schulen'')로 활동했다.
1941년 12월 3일, 잔트베르거는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 및 SD 지휘관(Kommandeur der Sicherheitspolizei und des SD, 약칭 KdS)을 겸임했고, 1943년 8월까지 존더코만도 1a대를 지휘했다. 1944년 1월부터 국가 보안 본부 VI부(SD 대외 첩보) A과(외국 첩보 조직과)의 과장이 되었으며, 1944년 겨울에는 같은 국에서 게릴라 부대의 훈련 커리큘럼 작성에 참여했다.[19]
3. 1. 동부 전선 배치
1939년 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점령 이후, 하인리히 히믈러는 하임 인스 라이히(대략적인 번역: '조국으로의 귀환')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는 폴란드 지역의 원주민을 몰아내고 발트 3국 및 소련 점령하의 동부 폴란드와 같은 다양한 국가에서 온 독일계 주민(Volksdeutsche)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1] 1939년 10월 13일 하인리히 히믈러는 잔트베르거를 북동부 이민 사무소(''Einwandererzentralstelle Nord-Ost'')의 책임자로 임명하고 다양한 ''Volksdeutsche'' 이민자들의 "인종적 평가"(''rassische Bewertung'')를 맡겼다.[18]1941년 6월 잔트베르거는 특수부대 1a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 Einsatzgruppe A.[1] 1941년 6월 22일에 시작된 독일의 소련 침공의 처음 2주 동안, 잔트베르거는 아인자츠그루페 A의 사령관인 프란츠 발터 슈타레커와 함께 이동했다.[1] 잔트베르거는 1941년 3월부터 RSHA의 사업 계획 배포와 학교 커리큘럼 조직의 책임자(''Lehrplangestaltung der Schulen'')로 활동했다.
3. 2. 총통 명령 인지
국가보안본부(RSHA) 제4국 관리자인 브루노 슈테켄바흐는 잔트베르거에게 총통 명령(''Führerbefehl'')에 대해 알려주었다.[1][5] 전쟁 후 Einsatzgruppen 재판에서 잔트베르거의 증언에 따르면, 슈테켄바흐는 게슈타포 본부(베를린 프린츠 알베르트 거리)에서 잔트베르거가 참석한 가운데 총통 명령에 대한 연설을 했다.[1] 슈테켄바흐는 개인적인 대화에서 잔트베르거에게 다음과 같이 명확한 지시를 내렸다.3. 3. 에스토니아에서의 학살
1941년 7월 초,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의 명령에 따라 잔트베르거는 에스토니아로 파견되었다. 잔트베르거의 증언에 따르면, 슈탈레커는 그에게 에스토니아에서 총통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고 명확히 지시했다.[1] 에스토니아에 도착한 잔트베르거와 그의 부대는 유대인, 로마인, 공산주의자, 정신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총격 사건을 일으켰다.[1]1941년 10월 15일 보고서에는 에스토니아에서 유대인 474명과 공산주의자 684명이 처형되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
1941년 9월 10일, 잔트베르거는 유대인 수용에 대한 일반 명령을 공포하여 450명의 유대인을 러시아 프스코프의 강제 수용소에 수감했고, 이들은 나중에 처형되었다.[1]
1941년 12월 3일, 잔트베르거는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 및 SD 사령관이 되었다.[1]
3. 4. 이탈리아에서의 활동
1943년 가을, 잔트베르거는 이탈리아 베로나의 게슈타포 책임자로 임명되었다.[7] 그는 이 직책을 수행하면서 북부 이탈리아의 유대인들을 체포하고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로 이송하는 일을 조직하는 데 관여했다.[7]3. 5. 첩보 활동
1944년 1월, 잔트베르거는 국가보안본부 VI국(외국 정보국 Ausland-SD)의 A 부서장이 되었고, 직접 발터 셸렌베르크에게 보고했다. 그는 이 조직의 국내 및 국외 계정과 재정 기록을 관리했으며,[8] 셸렌베르크의 수석 보좌관으로서 하인리히 힘러와의 연락 담당자 역할을 했다.[9]4. 전후 체포 및 재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군에 체포된 잔트베르거는 미국이 주도한 뉘른베르크 계속 재판 중 아인자츠그루펜 재판의 피고인이 되었다. 잔트베르거는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IG 파르벤 이사였던 그의 아버지가 친척인 테오도어 호이스를 통해 미국 대사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난트에게 사면을 간청했고, 각계에서도 탄원이 이어졌다.[19]
1951년 미국 당국은 잔트베르거의 형량을 무기 징역으로 감형했고, 1958년에는 석방되었다.[19]
4. 1. 아인자츠그루펜 재판
아인자츠그루펜 재판에서 잔트베르거는 반인륜 범죄, 전쟁 범죄, 그리고 범죄 조직인 친위대(SS) 가입 혐의로 기소되었다.[1] 재판에서 잔트베르거는 10월 15일 보고서에 기술된 살해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고 독일 야전 경찰과 에스토니아 자경단을 비난하려 했으나, 에스토니아 자경단이 특정 작전에 대해 잔트베르거의 관할과 통제하에 있었다는 사실이 같은 보고서에 의해 입증되었으므로 법정은 이를 기각했다.[1]잔트베르거는 푸스코프(Pskov)로 보내진 유대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체포했으며, 수용 기간 동안 총통 명령이 철회되거나 완화되기를 희망했고, 푸스코프 수용소에서의 그들의 처형에 대해 일반적으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살해의 "일부"에 대해서만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하며, 이 "일부"를 300명에서 350명으로 추산했다.[1]
재판 과정에서 오고 간 질의응답은 다음과 같다.
잔트베르거는 푸스코프에서의 유대인 처형은 자신이 부재중이었고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정은 잔트베르거의 증언 자체가 그를 유죄로 만들었다고 판단했다. 그는 총통 명령의 비인간성에 항의했다고 증언했지만, 뉘른베르크 군사 법정은 "피고인의 증언대에서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문서 증거와 그의 자백으로부터 그가 총통 명령의 실행에 기꺼이 동의했음이 분명하다."라며 그의 진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
4. 2. 감형 및 석방
1949년 루시우스 D. 클레이 장군은 정치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잔트베르거의 사형 선고를 확정했다.[1] 그러나 1951년, 존 J. 맥클로이의 사면 위원회는 잔트베르거의 형량을 종신형으로 감형했다.[1][13]IG 파르벤 이사였던 잔트베르거의 아버지는 테오도어 호이스 서독 대통령과의 인맥을 이용해 사면을 청원했다.[14] 볼프강 하우스만 법무부 장관, 카를로 슈미트 연방의회 부의장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도 탄원서를 제출했다.[1]
1958년, 연방 외무부의 가석방 신청이 받아들여져 잔트베르거는 석방되었다.[15][16]
4. 3. 석방 이후
베른하르트 뮐러의 중재로, 레클러 그룹에서 법률 고문직을 얻었다.[15]1972년까지 나치 전쟁 범죄 재판에서 여러 차례 증인으로 소환되었으나, 1948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의 유죄 판결 때문에 추가 기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7] 2010년 3월 30일, 98세의 나이로 슈투트가르트에서 사망했다.[17] 그는 2010년 당시 생존해 있던 전 친위대원 중 최고령자였으며, 가장 계급이 높았던 자였다.
5. 참고 문헌
- Ruth Bettina Birn|루트 베티나 비른de: ''에스토니아의 보안 경찰 1941-1944. 동부에서의 협력 연구.'' 페르디난트 셰닝, 파더보른 2006.
- 리처드 브라이트만, 고다, 노먼 공저, ''미국의 정보기관과 나치'',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5.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9035526/http://www.historycommission.ee/temp/conclusions.htm#intro2#intro2 인류에 반하는 범죄 조사를 위한 에스토니아 국제 위원회의 결론]
- 에저게일리스, 앤드루, ''라트비아의 홀로코스트 1941-1944 - 사라진 중심'', 라트비아 역사 연구소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과 제휴) 리가, 1996.
- Norbert Frei|노르베르트 프라이de: ''과거 정치. 독일 연방 공화국의 시작과 나치 과거'', 뮌헨, 1996.
- 칸, 데이비드, ''히틀러의 스파이''
- Ernst Klee|에른스트 클레de: "마르틴 잔트베르거" 항목, in ders.: ''제3제국 인물 사전. 1945년 전후 누구였는가''. 개정판. 피셔-타센부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2005, S. 43
- Michael Ruck|미하엘 룩de: ''코르프스정신과 국가의식. 1928년부터 1972년까지 독일 남서부의 공무원.'' 올덴부르크, 뮌헨, 1996.
- 로널드 M. 스멜서, 데이비스, 에드워드 J. 공저, ''동부 전선의 신화'',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7.
- Michael Wildt|미하엘 빌트de: ''무조건적인 세대 – 제국 보안 본부의 지도자 집단.'' 함부르크 에디션, 함부르크, 2003.
- 슈탈레커, 프란츠 W., "1941년 10월 15일까지의 아인자츠그루펜 A 작전에 대한 종합 보고서", 전시 증거 L-180, 일부 번역 및 재인쇄, 미국 연합군 수석 검찰관실, ''나치 음모와 침략'', 7권, 978–995쪽, USGPO, 워싱턴 D.C. 1946 ("레드 시리즈")
- [https://www.loc.gov/rr/frd/Military_Law/NTs_war-criminals.html ''뉘른베르크 군사 재판소에서 열린 전쟁 범죄자 재판, 연합 통제 위원회 법률 제10호에 의거, 뉘른베르크, 1946년 10월 - 1949년 4월'', 4권, ("그린 시리즈") ( "아인자츠그루펜 사건")] ([http://www.mazal.org/NMT-HOME.htm 마젤 도서관]에서도 이용 가능, HTML 버전)
참조
[1]
웹사이트
Trials of War Criminals before the Nuernberg Military Tribunals under Control Council Law No. 10, Nuernberg, October 1946 - April 1949
https://www.loc.gov/[...]
[2]
서적
Generation of the Unbound
[3]
서적
Hitler's Enforcers
[4]
서적
The Holocaust in Latvia
[5]
서적
The Holocaust in Latvia
[6]
기타
Einsatzgruppen trial transcript, 1947-1948, volume 6, pages 2143-2176, as excerpted and republished in Ezergailis, The Holocaust in Latvia, at page 205.
[7]
뉴스
The destruction of the Jews of Italy
http://www.holocaust[...]
The Holocaust Education & Archive Research Team
2018-09-30
[8]
서적
Hitler's spies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record of proceedings, 4 April to 15 April, 1946, Testimony of Ernst Kaltenbrunner, April 12, 1946, page 310.
https://web.archive.[...]
2009-07-20
[10]
서적
U.S. Intelligence and the Nazis
[11]
서적
The Myth of the Eastern Fro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2]
기타
Einsatzgruppen judgment
[13]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org: Breitman, Richard, "Historical Analysis of 20 Name Files from CIA Records analysis of CIA files", April 2001
https://www.archives[...]
[14]
서적
Adenauer's Germany and the Nazi past
[15]
서적
Law and War: International Law and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3-04
[16]
간행물
Sandberger, Martin (1911-2010)
ABC-CLIO
2019
[17]
웹사이트
Mort d'un nazi
http://www.lexpress.[...]
2010-04-07
[18]
문서
アングラオ(2012年)
[19]
문서
アングラオ(2012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